같이 조정하고 2027년부터 의료인
페이지 정보
작성자 test 댓글 0건 조회 53회 작성일 25-03-07 05:58본문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6일 대통령실·정부와 긴급 비공개 회의를 열고 “내년 의대 모집 인원을 2024년과 같이 조정하고 2027년부터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 논의를 반영하자는 게 현실적으로 타당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의대 정원이 1년 만에 2024년도와 같은 3058명으로 원상 회복돼 내년 증원은.
앞서 의대 학장 모임인 한국의대·의학전문대학원협회(의대협회·KAMC)는 지난달 19일 각 대학 총장에게 공문을 보내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은 2024학년도 정원(3058명)으로 재설정하고, 2027학년도 이후 정원은 의료계와 합의해 구성한 '의료인력수급 추계위원회(추계위)'에서 결정해야 함을 정부에 요구했다"며.
내년 의대 증원분은 0명으로 동결하되, 내후년은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를 통해 결정하자는 제안이다.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으로 되돌리는 건 윤석열 정부 의료개혁 정책을 중단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지만 의대 교육 중단이 3학기 연속 이어지면 향후 심각한 의료공백이 발생할 것이란 위기감이.
반면 복지부는 향후 설치될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추계위)에서 의대 정원을 결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 여당-교육부 “내년 의대 증원 0명으로”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6일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비공개 당정협의를 한 뒤 “국민의힘은 의대의 교육 정상화가 시급하다고.
[권성동/국민의힘 원내대표] "(내년도 의대 정원은) 2024년도와 같은 3천58명으로 조정하고, 2027년도부터는 보건의료기본법상 의료인력수급추계위의 결정을 반영하여…" 지난달 전국 의대학장협의회가 정부와 각 대학 총장들에게 2024년 수준의 정원으로 돌아가자고 건의한 걸 수용한 셈입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6일 대통령실 및 정부와 가진 긴급 비공개 회의 후 “내년 의대 모집 인원을 2024년과 같이 조정하고 2027년부터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 논의를 반영하자는 게 현실적으로 타당하다”고 밝혔다.
당정이 사실상 전공의·의대생들의 반발에 백기를 들고 ‘의대 증원 조건부 백지화’.
지난 6일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국회에서 의료인력수급등 현안 브리핑을 하고 있다.
더불어 2027학년도 이후 총정원은 의료계와 합의, 구성한 의료인력추계위원회(이하추계위)에서 결정하자고 제안했다.
또한 현재 국회에서 논의 중인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추계위)를 통해 2027학년도 이후 의대 모집인원과 입학 정원을 조속히 정해주시기를 요청드리며, 만일 2027학년도 의대 모집인원과 입학 정원이 추계위를 통해 합의된 안이 도출되지 않는 경우 2027학년도 의대 모집인원과 총정원은 5058명임을 분명히.
전공의·의대생 복귀 여부가 불투명한 데다 2027학년도 의대 정원을 논의할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추계위)의 구성 및 운영을 두고 갈등이 새롭게 빚어질 가능성도 있어서 낙관하기엔 아직 이른 상황이다.
내년도 의대 정원 논의는 지난 5일 의대를 둔 대학 총장들이 의대 측의 정원 3058명 정원 요구를.
일각에선 정부와 대학이 내년 의대 정원을 3천58명으로 줄이고 2027년 정원은 의료인력수급추계위에서 결정하겠다는 공동 입장을 내놓을 수 있다고 예측했다.
다만,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증원분을 '0'으로 돌리는 것을 기정사실화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이달 말까지 의대생들이 복귀하게 되면 2026학년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